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일러스트레이터 초보자용 용어 정리

by ∝∞∀∃⅞Θ 2021. 7. 9.
반응형

일러스트레이터 초보자로서 초보자들을 위한 용어 정리를 해보았다. 용어를 알아야 학습하는 게 좀 더 수월함을 느꼈다. 스스로 암기할 겸 정리해 보았다.

 

우선 일러스트레이터 영어 버전을 기준으로 주관적으로 알아두면 좋을 것 같은 용어들을 정리해 보았다.

 

[preferences] : 환경설정 - preferences가 왜 환경설정인지는 모르지만, 선호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니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사용 환경을 만든다는 의미에서 환경설정으로 통하는 듯하다.

 

패널(Panel) : 사각형의 판, 판자를 의미하는데 일러스트레이터에서는 기능을 모아둔 판이라고 보면 된다. 도구함 같은 느낌이다. 일러스트레이터의 각각의 툴들을 더 자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들을 모아둔 툴박스 느낌이다.

[window] 메뉴에 있는 모든 항목을 패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

 

아트보드 : 작업 화면

 

오브젝트(object) : 영어 그대로 물체, 대상을 의미한다. 일러스트레이터에서는 아트보드에 있는 도형들을 오브젝트로 인식한다. 예를 들어, 아트 보드에 사각형을 하나 그렸다면, 컴퓨터는 그 사각형을 오브젝트라고 인식한다. 따라서 아트보드에 만들어둔 도형 같은 것들을 오브젝트라고 생각하면 된다.

 

바운딩 박스(bounding box) : 오브젝트를 선택 도구(v)로 선택했을 때 나타나는 테두리 영역. 꼭짓점이나 변에 작은 사각형 형태가 나타나고 그것들이 이어져 있는데 이를 바운딩 박스라고 한다.

 

RGB 모드와 CMYK 모드

Color mode의 두 가지 모드다. RGB(Red, Green, Blue)를 의미하고 CMYK(Cyan- 청록색, Magenta - 자홍색, Yellow, Black)을 의미한다. 어떤 모드를 선택하는지에 따라 색감이 달라지기에 사용 전에 미리 선택을 해두어야 한다.

 

레이어(Layer) : 말 그대로 '층'을 의미한다. 일러스트레이터에서는 여려 겹, 층이 하나의 이미지를 구성한다. 이러한 층들을 레이어라 부른다.

 

패스(path) = pentool = Bezier = vector : 전부 다 같은 방식, 같은 얘기라고 생각하면 된다. 패스라고 주로 많이 부르는데, 펜툴을 이용해서 그리는 것을 다 패스라고 한다. 모든 그리는 방식은 결국 패스라고 생각할 수 있다. 펜툴을 이용하여 그려줄때 마치 길을 만들어나가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. 그래서 path인것같다(뇌피셜).

 

 

 

 

반응형

댓글